조이맘 산부인과

메뉴 닫기

게시판

칼럼

본문

임신부 요가 주의사항

2011-06-21, 1,921

임산부에게 좋은 요가…오히려 독일 수도

헬스조선 |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 입력 2011.06.21 09:13 | 수정 2011.06.21 10:27 | 누가 봤을까? 30대 여성, 제주

 




임신 중 운동은 어떻게 해야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일까. 임신 중 꾸준한 운동은 체지방을 감소시켜 과체중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자연분만과 순산을 돕고 태반으로의 혈액흐름도 증가돼 태아의 심장과 폐 발달에도 좋다.





20110621102727158.jpeg
↑ [헬스조선]영화 왓위민원트의 스틸컷

하지만 몸에 맞지 않거나 강도조절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는데 요가가 가장 대표적인 사례다. 요가가 척추의 유연성을 돕고 골반근육을 강화하면서 깊은 호흡을 통해 태아에게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모든 임산부에게 다 적용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관절이 약한 여성이라면 오히려 안하는 것만 못 할 수 있고, 임신 전 요가를 꾸준히 수련한 사람이 아니라면 태아 착상이 불안정한 임신 초기에는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제대로 배운 적도 없는데 요가 비디오를 보고 혼자 하는 수련도 위험하다. 자칫 임산부 전용 요가가 아닌 비디오에 나오는 일반 요가를 무리하게 따라했을 때 태아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임신 초기가 지났다고 해서 무조건 괜찮은 것도 아니다. 임신 전 운동과 담 쌓고 살았던 여성이 임신을 했다고 요가를 하면 몸에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무리한 동작뿐만 아니라 요가를 하면서 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유광사여성병원 유광사 병원장은 "산모의 고열은 기형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임신 말기에 지속적으로 고열에 노출될 경우 자궁태반을 흐르는 혈액의 흐름이 감소돼 태아의 성장을 방해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임신여성들은 일반인들보다 면역력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요가매트를 자주 소독하고 외부 요가교실을 다닐 경우에도 위생 상태를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임산부 요가를 가르친 경험이 풍부한 강사에게 배우고 산후조리원의 산전요가교실을 이용하는 것이 좀 더 안전하다.

  • Location

    오시는 길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359 반월메디컬빌딩 8층(남산동 925-2)

    주차 안내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418길 9
    반월메디컬타워 지상주차장

    (동양생명과 병원 건물 사이 골목으로 들어오셔서
    좌회전하시면 병원 건물 뒤에 주차타워가 있습니다.)
    *토요일은 주차장이 혼잡한 관계로 가급적 대중교통 이용을 추천드립니다.

    대중교통 이용 안내

    [지하철]
    1호선·2호선 반월당역 하차 21번, 22번 출구
    [버스]
    현대백화점, 동아쇼핑 건너 :
    305, 405, 414-1, 609, 840, 990, 991
    반월당역(1번 출구) :
    106, 202, 349, 401, 405, 410-1, 503, 650, 805
    [고속도로]
    북대구IC → 신천대로 → 상동교 방향 → 수성교 → 반월당 사거리 동대구IC → 시청 방면으로 좌측 방향 → 화랑로 → 동신교에서 앞산순환로 방면 → 수성교 교차로에서 시청 방면 → 반월당 사거리 서대구IC → 달성네거리에서 달성공원 방향 → 동산네거리에서 시청 방면 → 반월당 사거리

  • Contact

    상담문의

    053-254-5252, 5292

    진료시간

    • 09:30 ~ 19:00 (진료 접수 마감 18:30)
    • 09:30 ~ 12:00
    • 09:30 ~ 13:00
    • 13:00 ~ 14:30
    • 09:00 ~ 13:00
    • 휴진
    • 09:30 ~ 12:00(변동 가능, 전화 문의)
조이맘산부인과

대구조이맘산부인과

사업자등록번호 : 504-91-27488 대표자 : 이승민 주소 :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