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신체질량지수 3 증가할수록 불임 위험 12% 증가 |
남성의 신체질량지수가 높아질수록 불임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Epidemiology지에
발표됐다. 핀란드 직업건강연구소의 마크쿠 썰먼 박사와 미국 국립건강과학연구소의 연구진은 아내의 연령이 40세 미만으로 과거 4년간 임신을 시도했던 부부의 임신성공률을 분석했다. 불임은 피임하지 않은 성교 12개월 동안 임신되지 않은 경우로 정의하여 조사한 결과 임신성공률은 신체질량지수(BMI)가 26 이상(과체중)이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임신성공률은 점점 더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신체질량지수가 3 증가할수록 불임위험은 12%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과체중이 불임에 영향을 주는 원인으로는 정자수나 농도가 감소하거나 호르몬 균형이 깨졌거나 고환 온도가 상승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정상체중 남성에 비해 성욕이 낮거나 성생활이 활발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
- 이전글적절한 지방섭취의 중요성. 07.02.28
- 다음글[week&건강] 불임 극복…임신강박증부터 털어 버려라 [중앙일보] 06.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