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남성불임 치료에 에어로빅이나 조깅 등 유산소 운동과 웨이트 트레이닝(중량운동) 등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런 사실은 15일 한양대 체육과학연구소 박원화(29) 연구원이 작년 한양대 남학생 15명을 웨이트 트레이닝과 유산소 운동을 한 집단과 운동하지 않은 집단 등으로 구분, 10주간 이들의 남성 호르몬과 정액의 변화상태를 분석한 결과 나타났다.
박씨가 공개한 ´중량운동과 유산소 운동이 남성 생식호르몬과 정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란 연구논문에 따르면 남성이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경우 난포자극 호르몬(FSH).황체형성 호르몬(LH) 등 남성 호르몬의 민감성이 높아져 정자의 질과 양이향상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난포자극 호르몬과 황체형성 호르몬은 남성의 고환을 자극, 정자의 생성을 촉진시켜 정자의 질을 높이는 호르몬으로, 분비량이 적어질수록 민감성이 높아져 임신능력이 좋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한 집단은 운동을 하지않은 집단보다 난포자극 호르몬과 황체형성 호르몬의 분비량이 각각 절반과 3분의 1로 감소, 민감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웨이트 트레이닝에 참가한 권모(27)씨의 경우 황체형성 호르몬이 운동전에는 14.36mUL/ml였으나 운동 후 4.10mUL/ml로 줄었고, 난포자극 호르몬도 운동 전에는 9.31mUL/ml이었지만 운동 후에는 4.0mUL/ml로 감소했다.
또 에어로빅이나 조깅 등의 유산소 운동을 했을 경우에는 정자의 운동량이 10~100% 가량 증가, 정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신모(25)씨 정자의 경우 운동성을 지닌 정자의 양이 운동 전에는 전체정자 중 51%에 그쳤지만 운동 후에는 95%까지 증가했다는 것. 반면 운동을 하지 않은 서모(20)씨는 황체형성 호르몬과 난포자극 호르몬의 양에 큰 변화가 없었으며, 정자의 운동량은 당초 99%에서 실험기간 후 87%로 오히려나빠졌다.
박씨는 "그동안 시험관 시술이나 수술요법 등이 남성 불임을 해결하는 유일한 수단이었다"며 "연구결과 운동을 함으로써 불임환자나 노인계층의 임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 이전글당신의 정자는 안녕하십니까? 06.01.31
- 다음글임신중 니코틴 껌,패취 06.01.04